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FastAPI
- pytorch
- PCA
- Computer Architecture
- C++
- ML
- study book
- llm을 활용 단어장 앱 개발일지
- system hacking
- Got
- ARM
- BFS
- Algorithm
- Image Processing
- fastapi를 사용한 파이썬 웹 개발
- Flutter
- 파이토치 트랜스포머를 활용한 자연어 처리와 컴퓨터비전 심층학습
- Dreamhack
- Stream
- rao
- 백준
- 영상처리
- BOF
- MDP
- Kaggle
- DART
- BAEKJOON
- MATLAB
- bloc
- Widget
- Today
- Total
Bull
[ARM] 프로세서 명명법 | study book 본문
명명법은 아키텍처에 붙은 알파벳(심볼)의 의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ARM926EJ-S 같은 명칭을 말한다.
x: 프로세서 패밀리 (Processor Family)
x는 ARM 프로세서의 계열 또는 패밀리를 나타낸다. 이 문자는 특정 프로세서가 어떤 성능 범주에 속하는지를 구분한다. 예를들어 ARM926EJ-S, ARM946E-S, ARM968E-S 모두 ARM9 프로세서 패밀리에 속한다.
y: MMU/MPU (Memory Management Unit/Memory Protection Unit)
y는 프로세서가 메모리 관리 또는 보호 기능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 MMU (Memory Management Unit)는 가상 메모리를 물리적 메모리에 매핑하여 메모리 보호와 프로세스 간 격리를 가능하게 한다. 주로 고성능 프로세서에서 사용된다.
- MPU (Memory Protection Unit)는 메모리 보호 기능을 제공하지만 가상 메모리 기능은 없다.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한다.
z: 캐시 (Cache)
z는 프로세서가 캐시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T: Thumb 16비트 명령어 디코더 (Thumb 16-bit Instruction Decoder)
T는 ARM의 Thumb 명령어 세트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Thumb 명령어 세트는 16비트 길이의 압축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코드 밀도를 높이고 메모리 사용을 줄인다.
D: JTAG 디버거 (JTAG Debugger)
D는 프로세서가 JTAG(Joint Test Action Group) 디버그 포트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JTAG는 하드웨어 디버깅 및 테스트를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로, 디버거가 직접 프로세서 내부에 접근해 상태를 검사하고 제어할 수 있다.
M: 확장 고속 곱셈기 (Enhanced Multiplier)
M은 프로세서에 고성능의 확장된 곱셈기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이 기능은 곱셈 연산을 가속화하여, 특히 디지털 신호 처리(DSP)나 벡터 연산에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
I: 임베디드 ICE 마이크로셀 (Embedded ICE Macrocell)
I는 프로세서가 임베디드 ICE(인 서킷 에뮬레이션 마이크로셀을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임베디드 ICE는 프로세서의 실행을 실시간으로 디버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 하드웨어 개발 시 중요한 역할을 한다.
E: DSP 확장 명령어 (DSP Extension Instructions)
E는 프로세서가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확장 명령어 세트를 지원함을 나타낸다. DSP 명령어는 오디오 처리, 이미지 처리, 통신 등에서 필수적인 고속 신호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J: Jazelle Java 가속 기능 (Jazelle Java Acceleration)
J는 프로세서에 Jazelle 기술이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Jazelle은 Java 바이트코드를 하드웨어 수준에서 실행하여 Java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F: 부동소수점 처리 장치 (Floating Point Unit)
F는 프로세서에 FPUFloating Point Unit) 부동소수점 처리 장치가 포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FPU는 복잡한 수학적 연산, 특히 부동소수점 연산을 가속화하여, 과학 계산, 3D 그래픽 처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S: 통합버전 (SMP - Symmetric Multiprocessing)
S는 대칭 멀티프로세싱(Symmetric Multiprocessing을 지원하는 프로세서를 나타낸다. SMP 기능이 있는 프로세서는 여러 개의 코어가 동시에 동일한 메모리 공간에 접근할 수 있어, 병렬 처리가 가능해진다.
참고자료
https://www.yes24.com/Product/Goods/90454254
[전자책]코드로 알아보는 ARM 리눅스 커널 - 예스24
2년간의 코드 분석, 1년간의 집필로 집대성한 최초의 ARM 리눅스 커널 분석서!리눅스 커널 코드 분석의 혁명적인 방법을 제공한다!리눅스 커널 코드 분석을 위한 가장 실용적인 지침서!이 책은 저
www.yes24.com
'Computer Science >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M::kernel] 어셈블리에서 레이블을 왜 자주 사용하는 걸까? (C에서는 피하라고 배웠었다) (3) | 2024.09.01 |
---|---|
[ARM] 프로세서 모드와 레지스터 | study book (4) | 2024.08.28 |
[ARM] test_and_set_bit() : 커널 크래시 덤프 분석 (0) | 2024.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