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DART
- C++
- BOF
- llm을 활용 단어장 앱 개발일지
- MDP
- FastAPI
- PCA
- Got
- MATLAB
- study book
- bloc
- ARM
- Kaggle
- BFS
- rao
- Stream
- Widget
- 영상처리
- Computer Architecture
- Algorithm
- Dreamhack
- Flutter
- fastapi를 사용한 파이썬 웹 개발
- ML
- pytorch
- 파이토치 트랜스포머를 활용한 자연어 처리와 컴퓨터비전 심층학습
- 백준
- system hacking
- BAEKJOON
- Image Processing
- Today
- Total
목록All (309)
Bull

채팅 관련 서비스를 개발하던 중, GPT api를 불러오는데 생각해보니 GPT는 마크다운으로 답변할 때가 많다. 그래서 응답을 받은 텍스트를 마크다운 그대로 적용시키기 위해 플러터에서 필요했다.코드블록과 인라인 코드 블록도 이렇게 적용시킬 수 있다.플러터에서 마크다운을 적용 시키는 패키지는 다음과 같이 flutter_markdown 패키지를 사용한다.https://pub.dev/packages/flutter_markdown flutter_markdown | Flutter packageA Markdown renderer for Flutter. Create rich text output, including text styles, tables, links, and more, from plain text dat..

활성화 함수활성화함수는 인공 신경망에서 사용되는 은닉층을 활성화하기 위한 함수이다. 뉴런의 출력값을 선형에서 비선형으로 변환한다. 즉 활성화 함수는 네트워크가 복잡한 데이터의 패턴을 기반으로 학습하고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활성화 함수는 비선형 구조를 가져 역전파 과정에서 미분값을 통해 학습이 진행될 수 있게 한다. 만약 활성화 함수가 선형구조라면 미분 과정에서 항상 상수가 나오기 때문에 학습을 진행하기가 어렵다. 활성화 함수는 정규화 과정으로 볼 수 있다.이진 분류이진 분류는 규칙에 따라 두 그룹으로 분류한다. 예를 들어 0에서 1사이의 값들 중 0.5를 임계값으로 정하여 0.5보다 작으면 false, 크면 true를 결정한다. 이처럼 0에서 1 값을 갖게 하기 위해 시그모이드와 같은 함수가 사용..

데이터 세트는 데이터의 집합을 의미하며 입력값과 결과 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일련의 데이터 묶음을 전달한다. 모듈화, 재사용성, 가독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데이터 세트와 로더를 사용한다.데이터 세트데이터 세트는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샘플을 정제하고 정답을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초기화 메소드(__init__), 호출 메소드(__getitem__), 길이 반환 메소드(__len__) 등을 재정의하여 사용한다.데이터 로더데이터 로더는데이터 세트에 저장된 데이터를 어떤 방식으로 불러와 활용할 지 정의한다. 배치 크기(batch size), 데이터 순서 변경(shuffle), 데이터 로드 프로세스 수(num_workers)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배치는 데이터의 개수가 많아 에폭에서 모든 데이터를 올..

LLM을 통해서 채팅을 하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간단하게 Fast API로 gpt api 요청을 하는 서버를 구축해보겠다. OpenAI의 라이브러리만 써도 gpt 사용하는데 무방하지만 나중에 여러 모델을 쓰게 된다면 Langchain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럼 코드만 간단하게 작성해보겠다.디렉토리 구조현업에서는 어떻게 하는 지 모르지만 나는 그냥 플러터 프로젝트에 server 디렉토리를 만들어서 그곳에서 사용하겠다.server├── .env└── app ├── main.py └── service.py# requirements.txtfastapiuvicornlangchainopenaipython-dotenvFast APIenv에 gpt api key를 둔다.OPENAI_API_KEY={ke..
pm. 5:371. 조용히 타고날 것. 2. 평범하고 행복할 것. (뭘보고 떠오른 영감인진 모르겠지만 이렇게 사는 게 좋은 인생 아닐까) pm. 7:181. 앱 이름 단어 + 자비스 = 단비, 채팅 설정.2. 채팅을 할 때 마다 다이얼로그 등장: "다음과 같이 단어를 추가하시겠습니까? 단어: hawaii, 뜻: 화와이 섬, 예문:'How was your trip to Hawaii?' 태그: #비행기 #여행"3. 그리고 설정창에서 다이얼로그를 전환할 때 한번에 등록할 지 채팅칠 때마다 할지 고르는 메뉴 나타내기

오라클 프리티어(OCI) 소개오라클 클라우드는 aws에서 ec2 처럼 VM을 상시 가동시키고 VCN을 통해 서버구축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눈여겨 봐야할 부분은 VM OPCU의 1/8개, 메모리 1GB 스펙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번째인 Arm 기반 Ampere A1 코어 ~~도 제한된 스펙에 상시 무료인 거 같아서 사용할 수 있는 것 같은데 인터넷 대부분은 1GB 짜리 인스턴스만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일단 넘어 가겠습니다. (저도 잘 모르니까요) 하지만 대부분 1GB를 고른 이유는 웹 서버 호스팅용은 큰 스펙이 필요하지 않아 그런 것 같습니다. 용량은 총 200GB 까지 지원이 되네요. 로컬 컴퓨터로 생각하면 1GB짜리 VMware에서 가상 리눅스하나 킨다고 생각해도 되겠네요. 여기서 VCN을..

심도있게 하고 차근차근 조금씩 코드를 해석하기 위해 분량이 적다.SharedPreferences 패키지로 api key 저장하기SharedPreferences 패키지는 비동기적으로 모바일 기기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파일로 저장해준다. 만약 서비스를 회원 등록없이 간단한 데이터만을 사용하여 기록 저장을 하고 싶다면 SharedPreferences를 사용할 수 있다. 난 우선 api key를 통해 내 백엔드 서버를 배포하고 api 통신을 하도록 생각을 하고 있다. 그래서 회원등록이 아닌 개인 api key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근할 수 있도록 모바일 기기에 데이터를 저장할 것이다. 그래서 SharedPreferences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순서는 간단하다.1. 라우팅 설정으로 api key 입력 페이지로 ..
pm. 9:14플러터 프로젝트 생성 윈도우 프로그램? win32로 만들면 재밌을 듯!
pm. 7:43 교환학생을 포기하고 대학원을 생각하게 되었다. 대학원을 가려면 충분한 전공지식과 기본 영어 실력, 사람과 소통하는 방법 등 다방면으로 준비를 해야 한다. 그 중 연구하고 싶은 주제와 그것에 대한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내가 하고 싶은 건 여러 경험이다. 어릴 때는 하나의 주제에 대해 연구하고 싶은 마음은 있었지만 그것에 구체적인 주체는 없었다. 그냥 생각없이 그 부분도 단순히 멋있어 보여서 그런 걸까? 뭐 아무튼 그건 그렇다 치고 현재가 중요하니까. 현재로 다시 생각해보면 지금 생각나는 건 "뉴럴 링크"이다. 뉴럴 링크는 2020년도에 처음 알았고 단순히 멋진 연구를 하게 되면 뇌공학쪽으로 가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다. 그런데 그런 연구는 정말 똑똑한 사람만이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

* 정확하지 않고 이해한 바탕으로 쉽게 설명하기 위해 대략적으로 적었으니 틀린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Bloc 간단 브리핑Bloc Pattern은 Flutter에서 상태관리 패키지 중 하나로, [bloc, event, state] 클래스를 나누어 세부적으로 각각 역할이 주어진다. event는 말 그대로 이벤트를 처리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클래스이다. state는 상태를 나타내는 클래스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bloc은? bloc은 이 event와 state를 전체적으로 관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eventabstract class BlocEvent {}class BlocEvent1 extends BlocEvent {}class BlocEvent2 extends BlocEvent {}// ...//st..

아이디어는 다음과 같다. GPT api를 연결해서 단어의 질문을 받는다. 단어에 대한 뜻이나 예문을 저장하고 폴더는 태그형식으로 담아 놓는다. (태그도 GPT가 생성한다) 태그는 직접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즐겨찾기 기능을 따로 넣지 않고 즐겨찾기처럼 찾을 수 있는 태그를 단어에 달아 놓는다. 스트릭을 통해서 공부를 얼마나 했는 지 볼 수 있다. 캘린더에 백준 스트릭처럼 출석 도장을 찍는다. 백준 그대로 처럼 그래프 뷰도 만들 예정이다.처음에는 GPT api 만 활용하려고 생각했는데 기회만 된다면 다른 LLM model을 택하여 돌려쓸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생각 중에 있다. 근데 사실 더 고민인 건 개인 api를 사용해야 할 지, 인 앱 결제 방식으로 내 api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할 지 고민도 있다...

이 깔끔하고 아름다운 토글형태의 선택버튼이 있는 이미지를 생각했지만 아는 건 쥐뿔만큼 없는 난 토글 스위치라는 단어 밖에 생각나지 않았다. 요즘 GPT도 멍청해져서 그냥 혼자 찾아보고 있다가 카톡 오픈채팅으로 질문을 물어보았다. 구현하라고 하면 구현할 수는 있겠지만 내장되어 있는 위젯을 사용하는 게 더 깔끔하기 때문에 찾아보았다.좋은 답변들이 왔지만 결국 자문자답하였다 ㅋㅋ 도움을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글을 쓴 이유?그림과 같은 토글버튼의 존재를 몰랐기 때문에 기억하려고 적은 이유가 커서 이미 목적은 달성했다. 제목을 저렇게 지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ToggleButtons에 대한 설명은 문서를 보면되니까. 기본을 알려주는 교과서적인 정리는 시간이 될 때..? 근데 하나 적고 싶은 게 있다!Tog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