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백준
- PCA
- ARM
- Flutter
- MATLAB
- Widget
- pytorch
- BAEKJOON
- Image Processing
- rao
- 영상처리
- ML
- bloc
- llm을 활용 단어장 앱 개발일지
- study book
- C++
- DART
- 파이토치 트랜스포머를 활용한 자연어 처리와 컴퓨터비전 심층학습
- Algorithm
- Kaggle
- Stream
- system hacking
- FastAPI
- Dreamhack
- Got
- BOF
- BFS
- Computer Architecture
- MDP
- fastapi를 사용한 파이썬 웹 개발
- Today
- Total
목록All (309)
Bull

Flutter에서는 win32 패키지를 통해서 실제 win32 api 를 호출할 수 있다. win32 패키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진 않았지만 우선 win32 를 통해 MessageBox 이벤트를 호출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자.Level 1 : 구현Level 1 : 구현단계에서는 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원리는 거의 없고 A는 B이다 형식의 설명입니다.CODEwindows_message_box.dartimport 'package:win32/win32.dart';class WindowsApi { static void showMessageBox(String text, String caption) { final textPtr = TEXT(text); final captionPtr = TEXT(c..

글이 대충 이미지만 있고 이상한 이유?2023년 11월 즈음 2학년 때 수학언어라는 교양과목을 수강했었다. 과제로 수학관련된 주제를 잡고 발표를 해야했다. 갑자기 생각났는데 나름 이해 잘 되게 정리해놓은 거 같아서 블로그에 다시 글로 옮겨 적고 싶어졌다. 자료 정리를 참고 자료와 거의 비슷하게 했지만 그래도 나름 잘 만든 거 같아서 ㅋㅋ. 하지만 요즘 CTF, 워게임도 안하기 때문에 사용할 일이 없어서... 일단 올려 놓고 필요하면 그때 다시 정리하면서 쓸 예정이다. 나중에 까먹지 않게 미리 올려두고 RSA 필요할 때 이 글 보면서 다시 정리하려고 일단 올려놓는다..... 약간 날라간 사진도 있지만 ㅡㅡ, 그리고 ppt 다시봐도 너무 구리다 ㅋㅋ 진짜 너무 대충했다. 여담으로 원래 5분짜리로 간단하게..

am. 2:25"인류가 생성한 순도 높은 데이터는 여기까지". 요즘 나도 많은 창의력이 떨어졌다고 생각했다. 그 이유는 나이가 들고 점점 사회의 지식과 많은 접점이 일어나게 되고 많은 것을 알게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해당 영상의 댓글을 보고 소름까진 아니지만 이 문구가 뇌리에 탁 박혔다. 이러한 주장이 확실하다는 근거는 없다. 하지만 대략적인 경험으로 봤을 때 AI는 계속해서 옳은 것에 수렴한 답만을 내놓을 것이고 많은 지식들을 획일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상황은 AI가 아니더라도 인류가 늘 새로운 지식들을 만들고 정리하고 보편화시키기도 했다. 그래도 이 부분을 간과하며 살다가는 정말 인간으로써 쓸모없는 존재가 되어버릴 수도 있다. 이 댓글을 본 순간 생각해낸 나만의 대응책이 있다. 이게 정답..
pm. 4:11어릴 때 작은 변화에도 민감하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 별 것이 아닌데 호들갑 떠는 그런 성격이었다. 몸에 이상이 있는 거 같으면 응급실을 찾아가곤 했다. 응급실을 가고나면 진단은 "원인을 알 수 없음" 이었다. 몇 번 가본 이후로는 가지 않았다. 어느 순간부터는 그냥 몸에 이상이 생기면 어차피 별 거 아닐 거니까 그냥 가봤자 똑같은 진단이 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최근 밤을 몇 번 새고나서 그런지 컴퓨터를 많이 봐서 그런지 눈에 가끔 뿌연게 보인다. 그래서 안과를 가봐야 할 거 같으면서도 놔두면 금방 사라질 증상일 거 같기도 생각한다. 만약 가서 최악의 진단이 나올까봐 걱정되기도 해서 그렇다. 오늘은 내가 못갔는데 내일은 꼭 가봐야겠다. pm. 11:05방학이 끝나가니까 마음이 조급해지..

이 글은 친구와 kaggle에 익숙해지기 위해 스터디하는 걸 정리해봤습니다.목적으로 코드도 중요하지만 데이터를 어떻게 다루고 왜 다루고 전처리는 어떤 방식으로 하는 지 궁금해기 때문에 하나하나 관찰하며 혜안을 얻고자 하는 목적입니다.CODEhttps://www.kaggle.com/code/xvivancos/image-compression-using-pca/ Image compression using PCAExplore and run machine learning code with Kaggle Notebooks | Using data from [Private Datasource]www.kaggle.comPCA를 사용한 이미지 압축3.1 데이터이 알고리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연구하기 위해 예제를 살펴보겠습니..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주성분 분석)는 고차원 데이터를 저차원으로 변환하면서 데이터의 주요 변동성을 최대한 보존하는 선형 변환 기법입니다. PCA는 데이터의 분산을 가장 잘 설명하는 새로운 축(주성분)을 찾아내어 데이터를 이 새로운 축으로 투영함으로써 차원을 축소하거나 데이터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사용됩니다. 고차원 데이터를 저차원으로 압축하여 저장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데이터 압축을 하거나 데이터의 주요 변동성을 유지하면서 노이즈를 줄이고 시각화, 주요 특성 추출을 위해 사용합니다.PCA 수행 예제원본 데이터학생수학과학영어A809085B858580C788882D9287901. 평균 중심화각 과목의 평균을 ..
am. 3:43 진도를 생각하지 말고 하루에 어느 비중으로 둘지 생각하자. 진도는 어차피 계속 늦어진다. 하지만 시간은 한정적이다. 따라서 불변하는 시간을 중심으로 잡아서 행동해야한다.

BottomAppBar를 사용하는 대신 아래에 드롭박스를 열어서 아이템을 확인하는 위젯을 만들어 봅시다. 특이사항은 바텀 메뉴가 접혔다가 펼쳤다가 하기 때문에 접혔을 때도 기존의 화면이 나와야 됩니다. 그러기 위해서 Stack 위젯을 사용했습니다. 이 위젯은 렌더링 되는 화면을 3차원 공간으로 인식한 후 stack에 관점에서 겹겹이 위젯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이제 이 개념을 적용해서 바텀 메뉴 드랍다운을 만들면 아래처럼 됩니다.그림이 너무 대충만든 것 같죠? 맞습니다. 빠르게 하기 위해서 느낌만 내봤습니다.그럼 이제 코드를 살펴볼게요.CODE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void main() { runApp(MyApp());}class MyApp extends S..
am. 6:52 어제 8-15시 취침, 현재까지 안잠. 커피마심. 조금이라도 자야댐. 지금 1시간반 버스에서 40분 정도라도 자자 제발~~~~~~~~~ 알바가야 한다고 pm. 6:15 생각의 흐름 점심 식사 재끼고 점심시간에 40분 정도 쪽잠잤다. 졸려죽겠다. 근무시간에 노동 머리를 제대로 굴리지 못해 너무 죄송하다. 오늘 버티자만 생각하고 거의 아무생각 없이 지나갔다. 내가 어떻게 지금 여기에 있는지도 잘 모르겠다. 그래도 오늘 몇 분 안잤으니 내일부턴 다시 정상화되겠지.. 할게 많다. 일어나서 영어 공부좀 하고 해뜰 때 비가 안온다면 해맞이공원까지 등산좀 해야겠다. 스터디 준비도 해야 된다. 엄마랑 일요일 아침에 등산도 해야 된다. 백준 풀다가 플러터로 재밌는 거 만든 것도 정리해야 한다. 수강신청 ..
pm. 4:1120일날 Feed에 썼던 LLM 서비스 단어 찾기 앱을 만들기로 결정했다. 다만 이번엔 GPT에 요청한 코드를 있는 대로 쓰지말고 UI를 각각 개별 프로젝트로 만들어 가며 블로그 포스팅과 배우면서 할 예정이다. 있는 거 그대로 써버리니 코드를 봐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감만 잡는 나를 보니 회의감이 들었다. pm. 4:49책 반납하고 왔는데 학교 도서관 연체료 있는 줄 몰랐다... 평소에 연체를 해본적이 없어서 다른 곳도 다 이런가?

서론이번에 만들 앱을 기획하기전에 어떤 UX구조를 해야할 지 고민이 되서 먼처 채팅 UI의 기본적인 구조를 바탕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채팅 UI는 만들다보면 간단해보일 거 같은 느낌이 드는 데 막상 해보면 조금 많이 어렵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채팅의 히스토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 그 히스토리를 또 어떻게 저장할 것인지 많은 데이터가 담기기 때문에 생각할 게 많아지죠. 따라서 기본적인 틀 구성을 수학의 정석처럼 정석은 어떤지 한 번 살펴 보시다.혼자 헛소리 조금만 하겠습니다 - (넘어가도 좋습니다)제가 만들기 위한 앱은 앱을 들어왔을 때 바로 채팅을 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야하는데 BottomNavigationBar를 사용하면 아마 채팅을 치는데 불편함이 있겠죠? 그래서 BottomNaviga..